강의 (9)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식 트레이딩 시스템 구축 (#3 액세키 관리, api 호출) 안녕하세요.저번시간에는 프로젝트 생성 및 장고 서버 구동까지 진행을 하였습니다.이번시간에는 한국투자증권의 api 호출을 위한 액세키 관리 및 기본적인 api 호출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이번 시간 진행 내용:- 액세스 키 관리 및 api 호출1. 앱 생성 및 액세스 키 관리를 위한 세팅 파일 수정python manage.py startapp stocks# 세팅에 앱 등록INSTALLED_APPS = [ ... 'stocks.apps.StocksConfig',]stocks app: 주식 관련 데이터 관리 담당 (종목 정보, 주식 시세, 주식 시장 관련 정보 등)trading app: 추후 추가할 장고 앱으로써 매수/매도 주문, 트레이딩 전략 로직 담당 2. 서비스 레이어 생성3. 서비스 레이어: .. 주식 트레이딩 시스템 구축 (#2 프로젝트 생성 및 깃헙 연동)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개발을 시작할 수 있는 기본 프로그램들을 설치를 하였는데요.이번 시간에는 프로젝트 생성 및 기본 세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이번 시간 진행 내용:1. Github 프로젝트 생성 (https://github.com/junngo/mint)2. Git 설치 (https://git-scm.com/downloads)3. 로컬에 프로젝트 생성 및 장고 프로젝트 구동# 가상환경 생성python -m venv myenv# 패키지 설치pip install django requests python-dotenv# 프로젝트 생성mkdir mintcd mintdjango-admin startproject config .# 프로젝트 실행python manage.py runserver 4. git 연.. 주식 트레이딩 시스템 구축 (#1 목표 및 개발 환경 세팅) 안녕하세요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주식을 자동으로 트레이딩할 수 있는 주식 트레이딩 시스템을 만들어 볼게요.장고에 대해서 기본적인걸 학습 하고 나면, 무얼 만들어 볼까 고민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그렇게 고민하며 정하게 된게, 바로 주식 트레이딩 시스템이예요. 목표는 이 시스템을 통해서 돈을 벌겠다는 것이 아닌, 중요한건 우리만에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해요.이 과정을 통해서 주식을 자동 매매할 수 있고 분석할 수 있는 나만의 트레이딩 룸을 만들어 보겠습니다.우리가 만들어 볼 것: 주식 트레이딩 자동화 시스템대상: 파이썬의 기초적인 내용을 아시는 분, Django 튜토리얼 문서를 읽으신 분목표: 장고를 통해서 실제 자동화 시스템을 운영- Django를 활용하여 기능 개.. #6 Git, Github 을 조금 더 잘 사용하기 위한 기능😀 (stash, branch 전략)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까지 Git과 Github을 사용하여 협업을 하는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이번 강의는 git을 조금 더 잘 사용하기 위한 기능들입니다. 핵심 기능은 저번 시간 부로 모두 학습을 하였습니다. 지금의 파트는 가벼운 마음으로 학습을 하시고 이후에 필요하실 때 사용을 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 1. commit 전 임시 저장을 하기 위한 stash commit을 하기 전에는 다른 branch로 이동이 안됩니다. 그래서 사용하는 기능이 stash입니다. stash를 사용하면 커밋을 하기 전의 작업 내용들을 임시저장을 해줘요. stash list를 사용하면 임시 저장된 작업 내용을 볼 수 있고 필요하실 때 꺼내올 수도 있어요. 예시를 보겠습니다. added-task2-printing 브랜치에.. #5 Git, Github 협업을 위한 실전 연습 😀 (upstream이란?) 안녕하세요 :) 저번 시간에는 pull request를 만들고 충돌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할 수 있는 rebase까지 학습을 하였습니다. 첫 번째 강의부터 이전 강의까지 저와 함께 학습을 하셨더라면 이제는 Git과 Github를 사용하여 협업을 하실 수 있는 힘을 이미 갖추셨습니다. 앞에서 학습한 기반으로 조금 더 필요한 기능들은 직접 익히실 수도 있고, 추가 내용을 이해하시기에도 큰 무리가 없으실 거예요. 이제는 Git과 Github를 활용할 수 단계이시니, 협업을 경험하실 수 있도록 PR 만들기를 진행해볼게요. 그리고 회사 내부 프로젝트가 아닌, 오픈소스 같은 외부 프로젝트들은 어떻게 코드 커밋이 진행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작업 플로우 1) [github] - 개발 진행할 레파지토리.. #4 Git rebase 사용법을 배워봐요😀 (github - pull request 충돌 해결) 안녕하세요 :) 이번 시간에는 rebase에 대해서 배워볼게요😀 rebase는 커밋을 재배치(rebase) 하기 위해서 사용을 하겠습니다. 재배치라 함은 커밋의 위치를 다시 배치하는 작업입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예시로 보겠습니다. 저는 task2 프린트 추가를 위한 기능 개발을 위해서 브랜치를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task1(로그) 위치에서 added-task2-printing이라는 브랜치를 새롭게 만들고, 개발 후에 task2 프린트 추가라는 커밋을 만들었습니다. 제가 task2를 개발하는 동안, 협업하시는 분들이 task1(로그) 위치에서 task8과 task9 개발을 완료하여 master 브랜치는 앞으로 쭉쭉 나가고 있습니다. 이때 제 브랜치(added-task2-printing)를 master.. #3 Git, Github PR(pull request)이란? 사용법 및 실습 안녕하세요 :) 저번 시간에는 branch에 대해서 학습을 하였습니다. (링크) 이번 시간에는 협업을 위한 Pull Request(PR / 풀 리퀘스트)에 대해서 학습을 하겠습니다. PR은 깃헙에서 여러 사람들과 협업을 하기 위한 업무 FLOW입니다. 새로운 Git의 개념이 아닌 Github에서 사용하는 업무 FLOW입니다. PR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PR이 필요한 이유 특정 기능을 만들 때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어서 작업을 하셨을 겁니다. 작업이 끝난 후에 지금의 작업 브랜치에서 master 브랜치(또는 특정 브랜치)로 merge를 필요로 합니다. (작업 브랜치 ---(merge)---> master 브랜치) 협업을 할 때는 로컬에서 merge를 하지 않고, Github에 작업 브랜치를 pus.. #2 Git의 branch에 대해서 학습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Git과 Github의 기본 개념(URL)을 학습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git의 Branch의 대해서 학습을 하겠습니다. Git에는 Branch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현재 작업을 하고 있는 위치이자 작업의 줄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예시를 보면 아래와 같이 Branch가 만들어지고 작업의 줄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Branch는 작업 영역이 독립적이고 Branch 끼리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가장 핵심 작업의 줄기가 중앙에 있는 줄기라고 할 때(흔히 master 브랜치 라 불림), 필요의 따라서 master 브랜치의 영향이 없도록 브랜치들을 만들어서 작업을 수행하겠습니다. master 브랜치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개발을 해야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흔히)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