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6) 썸네일형 리스트형 Ep 2. HTML / CSS 입문 30일 챌린지 - 링크트리 만들기 (2주차) 유튜브 리뷰 링크: https://youtu.be/sS2b8EZqYa8 2주차 목표: html/css 연습을 위한 미니 프로젝트 1개 완성 mdn 매일매일 복습하기 (급해하지 않고 직접 눈으로 보면서 자세히 익히기) 2022-11-07 월요일 (8일차)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어 볼 것인가? -> 내가 지금 사용해보고 있는 웹 페이지는? 링크트리 실습으로도 괜찮겠다. 첫 부분부터 복습, 앞에는 확실히 수월합니다. inline level 태그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Inline_elements block level 태그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Block-level_elem.. Ep 1. HTML / CSS 입문 30일 챌린지 (1주차) 유튜브 vlog: https://youtu.be/FTxB6ZEzs6k 챌린지 설명 및 마음가짐: 30일 동안 매일매일 html과 css을 학습하고 실력 향상을 목표!! 초심자로서 그리고 비 전공자의 마음으로 챌린지를 진행합니다. (실제로 html, css 초심자입니다 ㅠ.ㅠ) 목표: HTML/CSS를 사용하여 웹사이트를 만들 때 자신감이 있다. (2개 프로젝트 정도 진행) 반응형까지 학습하여 웹이나 스마트폰에서도 화면이 제대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2022-10-31 월요일 (1일차) 어떤 방법으로 학습할지 서치 ref: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Learn/HTML ref: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Lear.. #2 리얼월드 HTTP - HTTP의 의미와 구성 요소 유튜브 강의 링크: https://youtu.be/kiZSh12Wb9E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HTTP의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 보겠습니다 :) 웹을 처음 공부하실 때 HTTP 통신, GET 방식, POST 방식 이런 이야기를 정말 많이 들으실거에요. 공부를 하다보면 도대체 HTTP 통신이 무엇이지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그래서 HTTP랑 조금 더 친해지기 위해서 이렇게 소개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조금 더 나은 개발과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HTTP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TTP라 함은 웹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약속입니다. 역시나 이렇게만 이야기 들으면 와닿지 않으니, 아주 단순한 초기 버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HTTP 시작은 매.. #1 실전 자바 소프트웨어 개발 - 객체의 인터페이스 사용 이유(feat SOLID원칙) 안녕하세요 :) 이번 시간에는 객체 지향에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학습을 해볼게요. (유튜브로도 학습을 하실 수 있어요. -> 유튜브 링크 클릭) 파이썬이나 자바를 학습하시다 보면 상속이라는 개념까지는 알겠습니다. 아 부모로부터 기능들을 물려받는구나 싶어요. 하지만 인터페이스를 공부할 때는 이걸 어디다 쓰지 싶습니다. 인터페이스는 상속과 달리, "기능만을 명시해 놓고 필요하면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사용해"라고 만들어 놓은 문법입니다. 인터페이스를 문법책처럼 그냥 설명을 드리지 않고 객체지향의 중요한 개념과 함께 설명을 드려볼게요. S (Si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 원칙 O (Open/closed principle) - 개방 / 폐쇄 원칙 L (Li.. #6 Git, Github 을 조금 더 잘 사용하기 위한 기능😀 (stash, branch 전략)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까지 Git과 Github을 사용하여 협업을 하는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이번 강의는 git을 조금 더 잘 사용하기 위한 기능들입니다. 핵심 기능은 저번 시간 부로 모두 학습을 하였습니다. 지금의 파트는 가벼운 마음으로 학습을 하시고 이후에 필요하실 때 사용을 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 1. commit 전 임시 저장을 하기 위한 stash commit을 하기 전에는 다른 branch로 이동이 안됩니다. 그래서 사용하는 기능이 stash입니다. stash를 사용하면 커밋을 하기 전의 작업 내용들을 임시저장을 해줘요. stash list를 사용하면 임시 저장된 작업 내용을 볼 수 있고 필요하실 때 꺼내올 수도 있어요. 예시를 보겠습니다. added-task2-printing 브랜치에.. 도대체 HTML / CSS 어디까지 알아야 될까? (HTML, CSS 공부 범위) 웹 개발의 구성 요소 중 HTML과 CSS는 필수 요소입니다. 백엔드 개발을 하신다면 HTML / CSS는 다루시는 일이 많으시지 않으실 텐데요. 웹 서비스를 직접 만드신다면 HTML / CSS 개발은 피할 수 없습니다. 태그 하나하나만 보면 그렇게 어려워 보이지 않지만, 웹 서비스를 만들고자 한다면 프런트 개발을 진행 못하고 있는 모습이에요. 그럼 도대체 HTML과 CSS를 어느 범위까지 알아야 될지, 리스트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적어도 이 정도는 알아야 프런트 개발을 하실 수 있으실 테니까요. 아래 내용들을 알고 있으신지 한번 확인을 해보세요 😀 HTML의 태그 구분 설명 태그 비고 1 HTML 구조 html, head, body 2 head 내 태그에 사용할 수 있는 태그 meta, title.. [스프링] 트랜잭션이란 무엇인가? (종류, 주의점) 트랜잭션이라 함은 작업의 단위로써 트랜잭션 범위 안에서 진행되는 작업은 모두 commit()을 통해 성공하던지 아니면 모든 작업이 rollback()을 통해서 취소가 되어야 한다. 트랜잭션의 종류의 대해서 알아보자 종류 설명 REQUIRED(디폴트) 진행 중인 트랜잭션이 없으면 새로 시작하고, 시작된 트랜잭션이 있다면 그 트랜잭션이 포함된다. REQUIRES_NEW 앞에 시작된 트랙잭션이 있던 없던 새로운 트랜잭션을 만든다. NESTED 진행 중인 트랜잭션이 있다면 진행 중인 트랜잭션 영향을 받지만, nested로 만들어진 트랜잭션은 진행 중인 트랜잭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MANDATORY 현재 트랜잭션에 포함되며, 진행 중인 트랜잭션이 없다면 예외가 발생한다. NEVER 트랜잭션을 사용하지 않으며.. #5 Git, Github 협업을 위한 실전 연습 😀 (upstream이란?) 안녕하세요 :) 저번 시간에는 pull request를 만들고 충돌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할 수 있는 rebase까지 학습을 하였습니다. 첫 번째 강의부터 이전 강의까지 저와 함께 학습을 하셨더라면 이제는 Git과 Github를 사용하여 협업을 하실 수 있는 힘을 이미 갖추셨습니다. 앞에서 학습한 기반으로 조금 더 필요한 기능들은 직접 익히실 수도 있고, 추가 내용을 이해하시기에도 큰 무리가 없으실 거예요. 이제는 Git과 Github를 활용할 수 단계이시니, 협업을 경험하실 수 있도록 PR 만들기를 진행해볼게요. 그리고 회사 내부 프로젝트가 아닌, 오픈소스 같은 외부 프로젝트들은 어떻게 코드 커밋이 진행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작업 플로우 1) [github] - 개발 진행할 레파지토리.. 이전 1 2 3 4 5 6 다음